<aside>
📹
녹화본
Video Conferencing, Web Conferencing, Webinars, Screen Sharing
</aside>
-
적극적이고 열린 소통의 자세를 갖춘 여러분들을 모셨습니다 !
→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팀 프로젝트 완성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해주시게 됩니다.
→ 팀의 방향키를 잡고 리딩하는 경험은, 취업에도 정말 큰 자산이 됩니다.
-
초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
-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기획해 나갈 것인가.
- 리더/부리더가 어느 정도 아이디어를 세워둔 것이 있어도 기획은 함께 하는 것
- 팀원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만의 방향성을 강요하는 것은 XXX
<aside>
📢 우리는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할까요?
</aside>
- 프로젝트의 당위성, 완성도 및 기능 고도화
- 최종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완성
입니다.
- 내일배움캠프 참여 목적은 사업이 아닌 취업 !
- ‘사업성 아이디어’ 또는 ‘흥행’은 기본적으로 취업에는 부차적인 요소입니다.
- “이렇게까지 고민했다고?” / “그것까지 고려했다고?” 가 핵심입니다.
- 문제 정의 및 해결 과정에서의 의사 결정과 솔루션 도출을 위한 “Why?”에 대한 고민이 중요합니다.
- “그냥”인 순간 면접 점수 -10점이라고 생각합시다.
- 기획은 팀원들과 의견을 공유하며 차근차근 완성해갑시다.
- 과정 진행 시 deep 하게 고민하는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aside>
❓ 우리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aside>
- 리더 / 부리더의 역할은 무엇인가?
-
팀 리딩
- 독단적인 리더 X
- 온화한 리더 O
- 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요!
- 꾸준한 설득과 파이팅이 중요합니다.
- 예쁘게 말하기
- 팀원이 만든 코드 일방적으로 고치지 말기.
- 코드에 수정이 필요할때는 꼭 상호 협의간에 수정이 되어야 합니다.
- 팀원이 담당한 기능 일방적으로 뺏지 말기.
- 담당한 기능이 있다면, 개인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더 잘한다고 해서 그 사람의 몫을 뺏는 것이 정당화 될 수 없습니다.
- 팀원 모두가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 처음에 기획단계에서 수준에 맞는 기능 배분은 좋을 수 있지만, 맡겨둔 부분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았다하여 빼앗아서 진행하는 식은 좋지 않습니다.
- 분위기 메이커
- 모두가 잘 안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필요하면 오프라인 모임도?!
- Ground Rule(회의 시간, 해야 할 것, 하지 말아야 할 것 등) 을 함께 설정해주세요!
-
테크니컬 서포트
-
각자 담당할 역할을 정했다면, 본인이 직접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 다만, 버거워 하는 팀원이 있을 수도 있죠!
- 팀원이 담당한 기능에 고군분투하고 있다면 리더/부리더님들 주도로 도와가면서 해결 해야 해요. (예쁘게 말하기를 꼭 지켜주세요~!)
ex. 튜터님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기 / 인사이트 공유하기 / 팀원들과 함께 해결해보기
- 이 과정에서 조율이 필요하다면 담임, 운영 매니저에게 도움 요청을 해주세요!
-
어떻게 일 할 것인가. / 기능별 R&R, 데드 라인과 중간 점검(데드 라인 당일 확인이 아니라, 중간 중간 상황 진척을 들어보는 것)

-
어떻게 팀원과 함께하는가?
- 그라운드 룰을 지키는 팀들이 됩시다.
- 팀 노션을 통해 정확한 날짜, 명확한 할 일을 적기
- 하루에 최소 두 번 회의 → 서로 진행 상황 점검하기
- 그라운드 룰을 정할 때, 상황 공유 제대로 안하는 경우 애교 섞인 패널티를 적용해보면 좋아요.
ex: 하루 종일 화면공유한 채로 개발하고 있는거 보여주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