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질문을 하기 전에 검색부터
-
질문의 요점부터 파악하고, 그 부분을 요약해서 질문 해봅시다
본인이 현재 처한 문제의 요점도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 되면 안되겠죠.
우선, 나의 문제를 잘 정리해서 질문할 수 있도록 생각해보고, 말로 설명하기 어렵다면 디엠으로 미리 질문을 보내두고 튜터님께 찾아가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
시도 해보았던 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보세요.
- 발생한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 그 문제를 통해 얻은 스스로가 해결을 위해 얻은 결론은 무엇인지.
- 그 결론을 통해 해 본 시도는 무엇인지.
-
코드를 보여주고 “안돼요”는 NO! → 최소한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문제가 발생했고, 어떤 에러 메시지가 났나 정도는 말씀 해주세요.
- 코드만 띄워놓고 “저는 이렇게 했는데 맞는거 같은데 안돼요...” NO!
- 최소한 에러 메세지 정도는 알려주거나, 현재 상태와 원했던 결과의 차이점을 파악
- 문제가 생겼을거라고 예상 가는 코드의 부분을 먼저 정리하고, 그것을 공유
-
질문을 하기 전, 스스로 다시 한 번 질문을 되새겨보기
- 위 사항을 따라가면서 문제를 파악하다 보면, 현재 문제에 어느 정도까지는 감이 잡힐 것입니다. 이에 따라, 다시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 그렇기에 한 번 더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더 좋은 질문으로 바꾸고,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면 개발자에 또 한걸음 더 다가가는 것이죠!
-
해결한 질문은 스스로 정리하고, 질문방이나 잡담방에 공유를 할 수 있다면 해주세요!
- 질문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여 오픈 된 공간에 공유를 하게 된다면,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 한 번 더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 또한 내가 공유한 질문과 그것에 대한 해답은, 누군가 나중에 검색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쉬운 문제로 바뀔 수 있어요. ( 지식은 전파합시다! 질문한 것의 흔적을 남기는 것은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는 것이 아닙니다! )
-
위의 과정들을 통해 스스로 피드백을 얻으면서, 똑같은 질문을 하지 않도록 스스로 되새기자.
- 질문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
- 하지만, 똑같은 질문을 여러 번 반복해서 하게 된다면? 튜터님이나 다른 팀원들의 리소스를 자꾸 쓰게 되고 지칠 수 있으니까요!
- 물론, 저렇게 생각할까봐 질문을 안하는 것은 더 안좋습니다.
- 질문 안하고 넘겨버리면, 그 프로젝트에서 담당한 부분도 완수하기 힘들어지고 전체 프로젝트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공유해서 해결해봅시다!
- 해결할 수 있는 작은 문제를 큰 문제로 만들지 맙시다! 해결 할 수 있는 타이밍에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