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모두가 알고있는 League of Legends 줄여서 LOL이라 불리우는 게임을 생각해봅시다. 플레이어인 여러분은 상대를 제거하고자 상대방에게 스킬을 적중시켰습니다. 이때 플레이어인 여러분의 입장에선 단순하게 스킬의 적중 여부, 상대방의 줄어든 체력에만 집중할 것입니다.
이번엔 여러분들이 LOL과 같은 게임을 제작중이라 가정하고 조금 더 자세하게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aside> 🎮 플레이의 일부 그 잠깐의 순간도 개발을 위해 조금 더 자세하게 분류해본 범위와 동작 과정은 생각보다 굉장히 많고 복잡합니다.
스킬을 사용하여 플레이어 적중 시 (아군인지 적군인지 구분 함)
➡️ 아군이라면 관통 및 데미지 계산 X
➡️ 적군이라면 이펙트와 함께 스킬 투사체 소멸 이후 데미지 적용, 피격 대상의 HP 감소
플레이어의 소지 아이템, 캐릭터 레벨에 영향을 받은 능력치와 스킬의 고유 데미지 값 연산 함
연산된 데미지만큼 상대방의 체력이 줄어들고 스킬의 고유 효과나 부가 효과가 있다면 발동 함 </aside>
<aside> 🤔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고 즐겨하는 게임은 무엇인가요?
지금 떠오르는, 혹은 즐겨하는 게임이 있다면 그 게임의 동작이나 구조에 대한 생각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래의 예시들을 보며 특정 게임의 상징적인 시스템이나 특징을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예시
피파 온라인3
**의 패널티 킥로스트 아크
**의 군단장 전투와 기믹팰월드
**의 팰 스피어를 통한 팰 포획리썰 컴퍼니
**의 모아온 아이템 정산오버위치
**의 캐릭터 ‘아나’의 좌클릭 기본공격의 아군 치유, 적군 피해
</aside><aside> 🧚 이번 퀘스트는 팀원과 함께 해보세요! 배움을 나누면 배가 됩니다!
가이드 1 : 팀원과 의논하여 게임 고르기
가이드 2 : 아래 “게임 분석 템플릿”을 블로그에 붙여 넣고 게임의 상징적인 시스템이나 특징 분석하기
가이드 3 : 조사한 정보 팀원과 함께 공유하기
가이드 4 : 작성한 블로그는 퀘스트 완료에 제출하기
</aside>
<aside> <img src="https://prod-files-secure.s3.us-west-2.amazonaws.com/83c75a39-3aba-4ba4-a792-7aefe4b07895/4768fdfe-52a7-4bfc-9c96-5d548421d52b/unity_logo_icon_144772.webp" alt="https://prod-files-secure.s3.us-west-2.amazonaws.com/83c75a39-3aba-4ba4-a792-7aefe4b07895/4768fdfe-52a7-4bfc-9c96-5d548421d52b/unity_logo_icon_144772.webp" width="40px" /> 게임의 특정 상호작용 분석해보기
</aside>
제출에 대한 안내는 추후 공지방을 통해 전달 드릴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