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컨벤션
깃플로우 전략
배포 계획
이번 주 한 일
진행상황 및 질문 사항
SSE로 낙찰 푸시알림을 구현하려 하였으나, SSE가 처음에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낙찰 이라는 이벤트를
→ 목요일에 답변 주실 예정
몽고DB를 사용하려 하는데, 연결은 하였으나 “_id”를 어떻게 조작 및 조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string으로 bidid 는 Id로 변경해서 해보세요
수수료를 경매상품의 필드로 할지, 따로 엔티티로 빼야할지 고민됩니다.
→ 따로 테이블 빼세요 (엔티티로)
AOP로 비밀번호 입력하는 과정을 구현하려 하였으나, 유저의 요청을 한번 더 받아야해서 AOP로는 구현하기 힘들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프론트로 하는게 맞는 것 같다.
FCM에서 유저 정보 가져오는 과정 질문
→ push 알림 보내려는 유저를 검증하는 로직만 추가하면 될 것 같다.
코드 리뷰 부탁드립니다.
→ 다음주 중으로 봐드리겠습니다.
테스트 코드 레퍼런스 부탁드립니다.
→ 다음주 중으로 봐드리겠습니다.
eventlistner 를 쓴다면, 비동기로 써보는게 좋지 않을까 싶어요
동기 : api 요청하나가 들어오면, 하나의 스레드 (요청)안에서 다 끝나야 응답이 감.
비동기 : 호출이 들어와서 진행하고 있다가, eventlistner를 비동기로하면, 다른 스레드를 호출해서 넘겨 버림. 단점도 있지만, 응답속도도 빠름,
왜 비동기를 선택을 했는지, 이유는 꼭 준비해두세요!
모든 기술을 쓰는데에는, 이유가 명확해야 합니다.
SSE timeout 너무 길게 잡으면 안좋다. 하나의 스레드를 (서버가) 오래 붙잡고 있는 것이라서,
스레드가 계속 발생되면, 서버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길어도 10분으로 (10분도 길게 느껴짐)
→ 코드를 보고 다시 피드백 드리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