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목표
직무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 몰입감을 높인다.
본인이 관심 있는 직무와 산업을 설명할 수 있다. </aside>
무엇을?
어떻게?
마케터 세부 직무 및 직무별 업무
마케터에게 필요한 hard/soft 스킬
발표시 포함되어야할것들
마케터 직무별 공통점과 차이점
각 산업군의 마케팅 전략과 채널 비교
마케팅 실행 시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아이디어
(1일차)세부 직무 조사: 그로스 마케터
(2일차) 관심있는 산업 조사
제품 경쟁이 치열하고 차별화가 핵심
기능 중심의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일관적인 브랜드 세계관, 감성, 이미지 구축력이 승부를 좌우함.

시드물의 경우, 인증마크 등 일관적인 요소들을 사용하면서도, 자사몰에서는 상품 인증을 상단에 배치하여 눈에 띄도록 하고, 외부 커머스 채널에서는 제품 설명과 함께 신뢰도 강조
소비자 참여형 콘텐츠의 영향력
후기, 체험단, UGC(사용자 생성 콘텐츠) 등이 구매 전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브랜드가 일방적으로 말하는 시대가 아니라, 소비자와 함께 만드는 마케팅이 중요함.

선케어 브랜드 직택은 크라우드 펀딩 과정에서 화해의 100인 실사용단 만족도 및 상세 리뷰 데이터를 공개하는 전략을 활용
→ 객관적 소비자 평가를 통한 신뢰도 구축
인플루언서·크리에이터 협업
신뢰할 수 있는 개인 (크리에이터, 인플루언서) 등의 사회적 증거를 빌려 메시지를 확산함.
비교적 마이크로, 나노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팔로워 대비 반응률을 높이는 전략이 주목받고 있음. → 보다 일반인 친화적인 관점에서 제품 리뷰 가능
바이럴 확산 가능


트렌드 민감도와 실행 속도
시즌, 컬러, 유행이 빠르게 바뀌는 산업 특성상 즉각적 대응력과 유연한 기획력이 요구됨.
→ 실시간 검색 데이터, 계절별 소비자 요구 변화 등 시장 신호를 빠르게 분석하여 제품 카테고리와 마케팅을 즉각적으로 조정해야함. 예컨대 계절 변화에 따라 보습·쿨링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거나, 특정 키워드의 검색량 변화를 기반으로 집중 홍보기간을 설정할 수 있음
글로벌 확장 시 문화 차이 고려 필수
K-뷰티의 영향력 확대로 뉴욕 등 해외 주요 도시 내 팝업 등 해외 소비자 대상 마케팅이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크게 확장하고 있음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1882083
국가별 피부 톤, 미적 기준, 소비 트렌드가 다르기 때문에, 글로벌 로컬라이제이션 전략 수립 능력 필수.
→ 티르티르의 경우, 북미 내 다양한 피부 톤을 고려하여 쿠션 쉐이드를 30여가지로 늘리고, 미국 흑인 뷰티 유튜버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피부 톤에 맞는 제품 라인업 구축

뷰티 산업의 그로스 마케터는 데이터 분석력과 감성적 브랜드 이해력을 동시에 갖춰야 함.
단순히 광고를 집행하는 역할을 넘어, 고객의 전체 여정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능력이 핵심임.
하드 스킬(Hard Skills)
퍼포먼스 마케팅 운영 능력, 데이터 분석, 콘텐츠 성과 측정이 기본이 됨.
Google Analytics, Meta Ads Manager, GA4 등 주요 툴을 활용해 유입·전환 데이터를 분석하고,
A/B 테스트를 통해 썸네일·카피·포맷별 반응을 실험하며 CTR·CVR을 개선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