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side> 💡 모든 토글을 열고 닫는 단축키 Windows : Ctrl + alt + t Mac : + + t

</aside>

00. Intro

01. 입문 주차 복습

<aside> 🙂 우리는 입문 주차 동안, 간단하게 데이터베이스와 JPA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차에는 JPA의 구현 원리와 내부 동작을 조금 더 살펴보고, 조금 더 복잡한 상황을 다루기 위한 JPA 관련 내용을들 학습하겠습니다.

</aside>

<aside> 🤔 내부 동작이나, 구현 원리까지 알아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aside>

<aside> 👉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등을 잘 배우려면 **“이게 왜 우리를 편하게 해주는지”**에 대해서 고민해보면 좋고, 잘 사용하려면”어떻게 우리를 편하게 해주는지” 고민해보면 좋습니다. 그래서 많은 좋은 수업들이, 해당하는 기술이 없음을 가정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한 후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서 얼마나 편해지는지 체감시키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특정 기술을 학습하고 더이상 공부하지 않는다면 해당 기술을 사용하다가 다양한 부작용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주로 내부 동작 원리나 한계등을 잘 이해하지 않고 사용하다보면 마주치게 됩니다.

</aside>

<aside> 🤔 이 장에서 다루는 모든 내용을 다 알아야하고, 다 이해해야 할까요?

</aside>

<aside> 👉 “나중에는 다 알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나중에”**입니다.

상대적으로 심오한 내용이기도 하고, 처음 접하는 여러분들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최대한 풀어서 설명을 드리려고 노력했지만, 보면서 이해가 가지 않으신다면, 나중에 돌아와서 볼 때 강의를 다시 듣지 않아도이해가 가는데 도움이 되도록, 풀어서 작성하려 노력했습니다. 이후의 개념을 배우면서 이해가 가지않는다면 그 때 다시 돌아와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side>

결론적으로 이번 주차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내부 동작에 대한 이해를 기를 수 있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서 이해해보기
  2. 입문주차 내용을 복습, 심화시켜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다양한 어노테이션을 배워 다양한 상황에 대응 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
  3.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나중에 JPA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상황을 대응하기 위한 내용들 배우기

01. 이제는 마주해야 할 시간 : 영속성 컨텍스트

00. 들어가기 전에(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