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를 바탕으로, 다음 스텝으로 나아가보세요.

실제로 많은 회사들이 프로젝트가 종료될 때마다 회고를 진행하고, KPT회고 방법론을 아주 많이 적용한답니다!

공부한 것, 배운 것 보다는 "협업"을 하며 느낀 점, 앞으로 더 잘 하고 싶은 점과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주시면 좋겠습니다.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1. 팀원들과의 충분한 아이디어 제시를 통해 주 타겟층을 확실하게 한 신선한 주제선정하였다.
  2. 팀원 모두가 주말, 공휴일에도 시간을 할애하여 팀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3. 선택 사항을 모두 구현한 것은 아니지만, 명예의 전당에 해당하는 사항까지 구현할 수 있었다.
  4. 주기적으로 코드리뷰 시간을 가지며 각자 배운 내용을 공유하였다.
  5. 서로 모르는게 있으면 팀원들에게 질문하고 함께 배워갈 수 있었다.

Problem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

  1. 코드 작성 및 수정 시 따로 주석이나 부가설명이 없어서 다른 팀원의 코드를 이해하는 데에 시간이 걸렸다.
  2. 에러가 발생할 때마다 팀원들끼리 트러블슈팅을 공유했어야 했는데, 프로젝트 중반부터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3. 코드에 변경이 생겼을 때 팀원간의 소통 부족으로 서로가 코드를 다르게 이해하고 있었으나, 이를 뒤늦게 깨달아 버그 수정 및 테스트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Try -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당장 실행 가능한 것

  1. 선정한 주제에 관해 다양한 니즈에 대한 안목을 늘리자
  2. 코드 작성, 수정할 때 다른 팀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주석으로 부가설명을 작성하자
  3. 코드를 작성하기 전 충분한 회의를 통해 ERD 및 API 명세서를 확실하게 작성하자
  4. 코드 수정 시 수정된 코드의 개념적 이해가 팀원들과 통일된 것이 맞는지 소통을 통해 확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