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토글 (▶ )을 클릭하여, 교육자료의 목차를 확인하고 빠른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전체 토글을 열고닫는 단축키 - Windows : Ctrl
+ alt
+ t
/ Mac : ⌘
+ ⌥
+ t
)
<aside> 🧑🏻🏫 스토리 보드란, 서비스를 기획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기획서” 또는 “기획 산출물” 중 하나 입니다. 기획에 대한 Wireframe을 작성하는 것과도 마찬가지 입니다.
</aside>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협업 도구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각기 화면의 동작과 전환을 확인하는 기획 문서를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파워포인트를 많이 이용했으나, 요즘에는 파워포인트 외에도 Figma, Sketch 등의 외부 툴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출처 : https://www.venturesquare.net/544639>
앞서 배운것과 같이 PM이라는 직무는 기업의 일하는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최근 다수의 Tech 기업에서 도입한 직무입니다.
워터폴 방식
으로 일을 할 때에는, 현재 PM이 하는 역할 중 개발자, 디자이너들에게 어떤 업무를 해야할 지 문서화해서 전달해주는 “서비스 기획”이라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 기획자가 있었습니다.애자일
하게, Lean
하게 일하는 조직에서는 현재 스토리 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곳도 많이 있습니다.
여전히 다수의 기업에서는 워터폴 방식의 업무 프로세스를 택하고 있거나 혹은 애자일 하게 일을 하지만,
디자이너, 개발자와 업무를 할 때 스토리 보드를 자주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책, 와이어프레임, IA (Information Architecture)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가 만들어지기 전 어떤 서비스가 만들어질지 미리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