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요약

김수호 개발자님의 개인 의견인 점 염두에 두시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 이력서 작성 때는 Amazon의 working backwards 방법 참고. Amazon은 제품을 계획할 때 제품의 보도 자료부터 먼저 작성한 후 거기서 뒤로 계획을 거꾸로 밟아감. 몇 개월 후 입사할 때의 자신이 원하는 이력서를 미리 작성해서 자기 자신을 거기에 맞게 발전시키기.
    1. 아마존의 working backwards에 대한 설명 링크:
      1. http://blog.wishket.com/참신한-아이디어를-찾는-아마존-거꾸로-일하기/
    2. 내일배움캠프 예: “1월 달에는 이력서에 이런 이런 내용을 쓸 수 있는 개발자가 되어야지.”
    3. 누가 봐도 뽑고 싶은 이력서 만들기
    4. 토스의 사례
      1. 먼저 “송금기능“을 영상으로 찍은 후 사람들에게 공개 후 반응이 좋은 것을 보고 만들기 시작.
  2. 높은 목표를 잡아야지 절반이라도 간다.
    1. 일정한 기한을 두고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기.
      1. 예: “3년 내에 구글에 간다” “3년 내에 네이버에 간다.”
      2. 김수호 개발자는 “3년 내에 네이버 간다“라는 목표를 세웠음. 네이버는 못 갔지만 2년 내에 쿠팡으로 감.
  3. 입사할 때 자신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1. 능동적인 사람 : 자체서비스를 하는 스타트업
    2. 수동적인 사람 : SI/SM
      1. SI/SM은 웬만하면 피하고, 가더라도 최대한 빨리 나오라고 김수호 개발자님이 조언하셨습니다.
    3. 대기업 : 유지보수팀이냐 신 서비스 개발팀이냐에 따라 달라짐.
  4. 서류 단계에서 떨어지는 이유:
    1. 이력서가 아니고 전단지처럼 보이면 안 보고 넘김.
    2. Template처럼 만들어 놓고 여기저기 다 찔러보는 건지, 아니면 가고 싶은 회사에 맞게 이력서를 썼는지? 이 회사가 날 봤을 때 뽑고 싶은지?
    3. 이력서를 정성스럽게 쓰기. 적어도 10시간, 많으면 며칠도 소요됨.
    4. 지원하는 회사에 대해서 최대한 많이 알아보기.
  5. 신입은 실력보다는 매력을 어필.
    1. 신입을 실력 보고 뽑지 않고 매력을 보고 뽑음.
    2. 성장 가능성, 스펀지처럼 잘 빨아들일 수 있는지 가능성을 보고 뽑음.
  6. 지원서의 양보다 질에 집중: 지원할 때마다 질 높은 지원서를 낼 것을 권고.
  7. 채용 절차
    1. 지원자를 다음 채용 단계로 보내기 위한 절차가 있고, 떨어트리기 위한 절차가 있음.
    2. 코딩 테스트는 지원자를 가려내기(=떨어트리기) 위함임.
    3. 회사 입장에서는 모든 지원자를 다 면접 보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알고리즘 테스트로 지원자를 가려내는 것임.
  8. 면접에서는 약점을 기회로.
    1. 면접 단계까지 갔다는 말은 이미 나이, 학력, 비전공, 스펙에 대한 약점이 다 노출 되었고, 그게 결격 사유가 아니라는 뜻임. 면접관이 “나이가 많으신데…“라고 말하면 거기에 대한 변명을 하기 보다는 장점을 어필하는 것이 좋음.
    2. 약점에 대한 변명을 하기 보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왜 뽑아야 하는 장점을 부각하기.
    3. 면접에서 떨어진다면 약점 때문이 아니라 장점 때문임.
      1. 소개팅에서 약점 부각 안하고, 장점 부각하는 것이랑 같은 맥락.
  9. 최대한 자원을 동원해서 면접관 스타일 파악하는 것이 중요.
    1. 겸손을 좋아하는 면접관 앞에서 신입의 패기를 뽐내면 안 좋고, 자신감 있는 지원자를 좋아하는 면접관 앞에서 겸손을 보이면 안 좋은 것.
  10. 면접은 무조건 많이 보는 것이 좋은가? No.
    1. 좋은 면접을 많이 보는 것이 중요.
    2. 안 좋은 면접도 면접을 보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감.
  11. 떨어질 것 같은 면접은 봐야 하나? Yes.
    1. “어차피 떨어질 텐데” 하는 면접은 얼씨구나 하면서 더 나서서 면접 보기. 그런 회사에서 면접을 보면 설령 떨어지더라도 다른 면접을 대비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됨.
      1. 예: 구글에서 면접 제의가 왔다면 생각보다 사람들이 대답을 못 할까봐 안 하는 경우가 있는데, 구글 면접을 보면서 부족한 점을 느낀 부분은 네이버, 카카오 면접에서 도움이 됨.
  12. IT업계는 바닥이 좁으니 적을 만들지 말기.
    1. 연차 내고 몰래 이직 면접을 갔다 왔는데, 사수가 “너 면접 봤다며?” 하면서 아는 경우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