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hub.com/choisooyoung-dev/d-ingco.git
240215_팀소개프로젝트_시연영상.mp4
https://github.com/DarkestTiger/300-team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aRdW4SqT2wEhnYPM2WUQ7HO8IMrFrBwGos0VkZDyx1Y/edit?usp=sharing
https://www.figma.com/file/NzwbB7sBTOTRmwurqIpyTy/Untitled?type=design&node-id=0-1&mode=design&t=kYxRM3CQ78MPSMwI-0
1. 오전에 10분정도 스탠드업 미팅 진행후 일과 적용 (매 09시 20분)
2. 회의는 브레인 스토밍 기법을 활용, 자유로운 발제 및 의견제시 를 지향
3. 저녁 식사 전 Prograss briefing 겸 회의 하기. ( 18시 전후로 진행)
4. 식사시간
점심시간: 12시 30분 ~ 1시 30분 / 저녁시간 : 18시 30분 ~ 19시 30분
5. 먼저 마무리 될 경우 다른쪽 서포트해주기
팀원 소개페이지 제작
회의는 하루에 2회 이상
오전 09시 20분 Stand up Meeting
오후 06시 00분 Progress brife and conference
임우재 튜터
첫 소개부터 '매출’이라는 단어가 보일 정도의 자신감 너무 좋군요 👀
300 전사분들 소개 프로덕트가 기대됩니다.
미니 프로젝트다보니 배포까지 기한이 매우 짧아서 세세한 일정을 세우기 힘들었을 것 같아요.
추후 조금 더 기간이 주어진다면 구체적인 일정을 잡아보는 연습도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개발자에게 제일 중요한 능력중 하나가 일정 산정이거든요.
사용하는 기술을 기입할 때는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도 함께 넣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와이어 프레임 좋네요, Lolem 사용하신 것도 좋아요.
API 명세도 디테일하게 Req & Res 작성해주셨네요.
JSON 형식 통일한게 좋습니다. 요건 필수는 아니고 넌지시 말씀드리는건데
Response 형식에서 status code는 굳이 Body 안쪽으로 안내려주셔도 좋을 것 같아요.
Res 자체에 담겨서 오는 값이라 안쪽 Body를 보고 status를 판단하는 것보다는
프론트에서 Res를 참조하여 해당 부분을 판별하는 로직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오전에 10분정도 스탠덥 미팅 + 블로그 정리까지
꼼꼼히 챙겨주셔서 앞으로가 기대되네요 ! 💪
THIS IS SPARTA !!